동북아경제권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22 23:40
본문
Download : 동북아경제권.hwp
또한 수출화물이 컨테이너 장치장(CY)에 입고되어 선적할 때까지 평균(average)소요시간 이 고베항은 12.8시간, 싱가포르항은 15시간, 홍콩항이 16.5시간, 카오슝항이 18시간인데 비해 부산항은 22.2시간이나 걸리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것은 부두내 컨테이너 화물을 보관할 수…(省略)
동북아경제권
순서
,경영경제,레포트
fdfdd4dd






레포트/경영경제
동북아경제권에 대해 조사한 자료(資料)입니다. fdfdd4dd , 동북아경제권경영경제레포트 ,
<< 목차>>
제 1 장 동북아경제권 형성과 물류環境(환경) 變化(변화)
1. 동북아경제권의 내용
1)동북아경제권의 기본구도
2)동북아경제권의 특징
3)동북아경제권의 展望
2. 동북아경제권 형성에 따른 물류環境(환경)의 變化(변화)
1)동북아경제권 형성에 따른 물동량
(1)동북아시아지역의 총해상물동량
(2)한반도 통과 해상물동량
제 2 장 부산항의 現況(현황) 과 강점
1. 부산항의 現況(현황)
1) 항만시설의 現況(현황)
2) 항만시설 이용現況(현황)
2. 부산항의 위치와 Hub-Port로의 강점
1) 부산항의 지정학적 위치
2) 비용/서비스
3. 물류거점국가별 물류경쟁력 우위요소
1) 네덜란드
2) 싱가포르
3) 홍콩
제 3장. 부산항의 drawback(걸점)과 해결plan
1 . 부산항의 drawback(걸점)
1) 항만시설의 부족
2) 컨테이너 전용부두 부족
3) 철도운송과의 경쟁 돌입
4) 서비스수준 미흡
2. 부산항의 나아갈 방향
1) 경쟁력 있는 가덕도 신항만(부산신항)의 조기 조성
2) 환적화물(T·S)의 유치와 시설완비
3) 크루즈여객선 유치와 전용부두 조성
4) 북항 주항로 준설과 해저암초 제거
5) 북항 부두의 배후지 및 배후도로 건설
6) 일반부두 「직통관제」 시행
7) 선박물품 국제 물류센터의 설립과 선박수리 부두조성
8) 수산업의 업종별 허가정수 설정
9) 물류정보망의 다원적 구축
2000년에 부산항 컨테이너 처리실적의 31.2%에 해당하는 235만TEU가 컨테이너 전용부두가 아닌 일반화물 부두에서 처리되어 부산항 컨테이너 전용부두 부족의 심각성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government 는 부산항을 2001년 현재의 21선석에서 오는 2xxx년까지 51선석으로 확대하는 계획을 추진중이지만, china(중국) 상해에 25선석, 싱가포르에 29선석 뒤지게 된다된다.
Download : 동북아경제권.hwp( 50 )
설명
동북아경제권에 대해 조사한 자료입니다.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