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력관리 및 평가의 방향에 관하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15 00:51
본문
Download : 학력관리 및 평가의 방향에 관하여.hwp
현재 학생들을 대상으로 평가하는 양태들 가운데 파행적인 학교현장의 운영과 아이들을 사교육의 현장으로 내모는 무책임한 일이 벌어지고 있따
얼마 전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서 전국의 고 2학년을 대상으로 실시한 학력평가에서 출제한 문제가 정상적인 수업과정에서 크게 벗어나 문제가 된 것을 우리는 기억하고 있따 치러진 학력평가의 수리 <가형> 문제를 보면 수학1과 수학2의 전 범위에서 출제되었다.
학교가 ‘학력관리 혹은 평가’라는 이름 진행시키는 것들 중에는 학교교육의 본질적인 역할과 기능을 버리고, 평가에만 집착한 듯한 인상을 지울 수 없는 현상들이 있따 발제자 백순근 교수의 글에서도 예를 들어 글을 쓰고 있듯이 ‘....교사가 학생을 평가하는 것이 주요업무가 되어 버렸다.
Download : 학력관리 및 평가의 방향에 관하여.hwp( 70 )
설명
학력관리 및 평가의 방향에 관한 글입니다. 이는 결국 학교교육의 파행적 운영을 부추기거나 아니면 사교육을 통하여 사전학습을 강요하는 것과 다름 아니다.
…(생략(省略))
,사범교육,레포트
학력관리및평가의방향에관하여
학력관리 및 평가의 방향에 관하여
순서
학력관리 및 평가의 방향에 관한 글입니다. 정상적으로 운영되는 인문계 고등학교에서 자연계열 2학년 학생들은 수학1과 수학2를 2학년과 3학년에 걸쳐서 배우게 되어 있따 그런데 2학년 학생들의 학력을 평가하는 문제가 수학1과 수학2의 전체 범위에서 출제되어 30% 가량은 전혀 배우지 않은 영역에서 출제된 것이다.....’라고 지적하고 있는 것이 우리 교육의 한 단면을 보여주는 것이라 하지 아니할 수 없다. 이러한 평가로 인해 공교육에 대한 불신과 파행적인 운영은 불을 보듯 뻔하며 이는 공교육의 정상화보다는 사교육의 조장과 파행적인 교과과정운영의 선봉에 선 듯하다.학력관리및평가의방향에관하여 , 학력관리 및 평가의 방향에 관하여사범교육레포트 ,
첫째로, 건강한 공교육을 살리는 관리 및 평가여야 한다. 이러한 학력평가에서 보면 평가가 무엇을 목적으로 하고 있는지 그 의도를 의심하게 만들게 한다. 가르치지도 않고 배우지도 않았는데 평가를 시도하는 것은 ‘공부는 사교육 기관에서 평가는 공교육기관’에서 받으라는 것이 아닌가하는 의도를 엿보게 한다. 수학1과 수학2를 2학년 내에 모두 배워야 풀 수 있도록 문제를 낸 것은 결국2학년에 수학1과 수학2를 모두 가르쳐야 한다고 강제하는 효율가 있다고 본다.





레포트/사범교육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