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년 2학기 중세국어연습 출석대체시험 key point(핵심) 체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1 18:47
본문
Download : 20112출석대체_국문3_중세국어연습.pdf
다. 제1장 훈민정음 언해
제1장 훈민정음 언해
- 중략 -
순서
제2부 중세국어강독
① `한글`의 옛 이름 - 즉, 문자의 이름.
방송통신 > 출석수업대체시험
2011년 2학기 중세국어연습 출석대체시험 key point(핵심) 체크
설명
⇩
제2장 월인석보
1. 문헌해제





<世宗御製訓民正音>[세종 임금이 지으신 훈민정음]
2. 훈민정음언해 본문 강독
Download : 20112출석대체_국문3_중세국어연습.pdf( 96 )
- 출제예상문제
② `훈민정음`이라는 새 문자에 대해 설명(explanation)한 책
② <훈민정음언해> : `훈민정음 l의 앞 부분(흔히 `본문`(세종의 御旨+例義)이라고 합니다)만을 한글로 번역한 책, 현재 전하는 책 가운데 가장 오래된 것은 <월인석보>(1459년)라는 책의 맨 앞에 붙어 있는 것
① <훈민정음> : 1446년(세종 28)에 간행, 한문으로 쓰여져 있음, 이 책을 `원본` 또는 `해례본` 부른다, 이 책이 나온 때를 오늘날 우리가 훈민정음 반포일로 잡아서 `한글날`이라 하여 기념하고 있는 것
(1) `훈민정음`의 두 가지 뜻
제2부 중세국어강독 제1장 훈민정음 언해 제2장 월인석보 - 출제예상문제
제2부 중세국어강독
(2) <훈민정음>과 <훈민정음언해>
이 책의 정식 title(제목)이다. 우리가 보고 있는 책이 세조 때 나온 것이므로, 간행 당시의 임금(세조)과 구별하기 위해 ‘세종’이란 말을 앞에 붙인 것이라고 생각하시면 된다. 그런데 ‘세종’이란 말이 들어간 것으로 보아, 이 책이 세종 때에 나온 책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다아 임금이 돌아간 후에 비로소 ‘○조, ○종’이란 묘호(廟號)를 정하여 부르는 것이다. 세종 때 간행된 책이라면 이 책의 title(제목)은 ‘어제훈민정음’(임금이 지으신 훈민정음)이 될 것이다. 옛날 책에서는 본문의 첫 줄에 그 책의 정식 이름이 꼭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