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학교 교과서의 연구고찰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24 12:53
본문
Download : 초등학교 교과서의 연구고찰.hwp
2000년 12월 한국교원단체총연회 회요인 이병기, 전제상의 “제 7차 초등학교 교육과정 운영 實態 조사 연구” 논문에서 인용함.
우리나라는 교육기본법 제 2조 교육이념에 의해 홍익인간의 이념 아래 모든 국민들로 하여금 인격을 도야하고, 자주적 생활능력과 민주市民으로서 필요한 자질을 갖추게 하여 이간다운 삶을 영위하게 하고, 민주국가의 발전과 인류공영의 이상 실현을 그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교육 이념을 구현하기 위해 필요한 것이 바로 교육 과정이다. 이러한 비전을 실현하기 위해서 ① 교육 공급자 중심에서 학습자 중심교육으로, ② 획일적인 교육에서 다양하고 특성(特性)…(省略)
순서
,사범교육,레포트
레포트/사범교육






초등학교 교과서의 연구고찰
Download : 초등학교 교과서의 연구고찰.hwp( 65 )
설명
초등학교
초등학교 , 초등학교 교과서의 연구고찰사범교육레포트 ,
다. 제7차 초, 중등학교 교육과정이 교육부 교시 제 1997-15호로 공포 (1997.12.30) 되었다.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必要性) 및 목적
2. 연구의 문제 및 내용
3. 연구의 방법
Ⅱ. 제 7차 초등학교 교과서 分析
1. 초등학교 교과서 내 남녀 직업 현재상황
2. 초등학교 교과서 내 성격적 분류
3. 조사 分析 결과
Ⅲ. 제 7차 교육과정이 문제가되는점 과 논의 방향
1. 양분화 된 성별의 규정
2.environment과 아동의 연관성
Ⅴ. 요약 및 結論
1. 요약
2. 結論
1. 연구의 필요성(必要性) 및 목적
아동은 태어남과 동시에 가족이라는 구성원의 일원으로서 부모 및 부양자로부터 제 1차 사회화 교육을 받는다. 이 교육과정은 초, 중등학교의 교육목적과 교육목표(目標)를 달성하기 위해서 초, 중등교육법 제 23조에 의거하여 교육부장관이 문서로 결정, 고시한 국가수준의 교육과정이며 초, 중등교육학교에서 편성과 운영하여야 할 학교 교육과정이 목표(目標), 내용, 방법과 운영, 평가에 관한 전국의 공통적 일반적인 기준을 제시한 것이다. 아동은 1차적인 사회화 교육을 통해 기본적인 생활양식을 익히고 제 2차 사회화 교육을 받을 준비과정을 거치게 된다 피아제의 theory 에 따라 아동은 감각 운동 지능기와 전조작기를 거치면서 부양자로부터 의식주를 제공 받음으로서 느끼고 경험하게 되는 모든 활동에서 사고와 정보 처리를 경험하게 되고 이는 곧 인지 발달로 이어진다. 따라서 아동의 지능과 사고, 일탈적 행위 등의 논의들은 굳이 후천성 혹은 선천성의 논란을 겪지 않고도 아동이 자라면서 경험하게 되는 사회화 과정이 매우 중요한 것임을 알 수 있다 그렇기에 본 연구는 아동의 제 2차 사회화 과정이 중요한 역할을 차지하는 교과서 특히 제 7차 교육과정에 관련되어 알아보고 이에 따른 문제제기를 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