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호와 정이의 인식론적 특징/SPAN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19 17:03
본문
Download : 정호와 정이의 인식론적 특징SPAN.hwp
. 한번 음이 되고 한번 양이 되는 것(소이연)이 도다.
결국 리는 도와 대응되는 것으로서 도나 도리, 성등과 같이 쓰인다.
결국 리는 형이상의 것으로서 작위가 없는 것이고, 기는 형이하의 것으로서 산취 등의 작위가 있는 것이다. 또한 하늘이 내렸다해서 천리, 천명, 천에도 대응되는 concept(개념)으로 파악했다. 여기에서 천이 갖는 종교적 색채(즉 인격신의 색채, 주재자, 상제의 의미)가 사라지고 천즉리라 하는 형이상학적 의미로 전환하게 된다된다. 이와 덧붙여 기에는 생하는 property(특성)이 있다고 한다. 이미 흐트러진 기는 다시 돌아오는 것이 아니고, 다음에 나타나는 기는 새로 생긴 것이다.
Download : 정호와 정이의 인식론적 특징SPAN.hwp( 86 )
1) 천하물개가이리조유물유칙 일물수유리: 천하의 만물이 리로써 찾아질 수 있는데, 물이 있으면 칙이 있어서 하나의 물에는 반드시 리가 있다아
2) 일음일양지위도 도비음양야 소이일음일양자도야(주역): 한번 음이 되고 한번 양이 되는 것을 도라 이르는데, 음과 양이 도가 아닐것이다.(진지의 기) 그런데 구체적인 생생의 방법에 상대하여는 언급이 없다.... , 정호와 정이의 인식론적 특징/SPAN인문사회레포트 ,
레포트/인문사회
설명
1) 천하물개가이리조유물유칙 일물수유리: 천하의 만물이 리로써 찾아질 수 있는데, 물이 있으면 칙이 있어서 하나의 물에는 반드시 리가 있다
,인문사회,레포트
...
순서
다.
이제 기의 뜻을 살펴보자. 이천에 의하면 기는 음양(오행) 자체를 말한다. 이것은 사물의 재료에 해당한다. 이 경우…(drop)






정호와 정이의 인식론적 특징/SPAN
1) 천하물개가이리조유물유칙 일물수유리: 천하의 만물이 리로써 찾아질 수 있는데, 물이 있으면 칙이 있어서 하나의 물에는 반드시 리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