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방과 분단국가의 수립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08 04:21본문
Download : 해방과 분단국가의 수립.hwp
Download : 해방과 분단국가의 수립.hwp( 99 )
(2) 북조선임시인민위원회와 토지개혁
- 인민위원회가 행정기능, 치안 담당, 공공기관과 산업 접수, 관리.
- 1945년 11월 북조선 행정10국 설치
▶ 북조선 임시인민위원회(위원장 : 김일성) : 1946년 2월.
- 일제잔재 청산, 중요산업 국유화, 토지개혁 실시, 8시간 노동제 등 20개조 정강 발표.
Ⅲ. 모스크바 삼상회의 이후 정치적 분열과 대립
1. 모스크바 삼상회의와 reaction(반응)
- 신탁통치논쟁
- 1945년 12월 16일 미국·영국·소련 삼국 외상회의. 전후 처리 논의.
- 미국은 한반도 신탁통치 수립 때까지 미소 양군 사령관을 우두머리로 하는 단일政府(정부) 수립. 조선인을 행정관, 고문관으로 참여시킬 것을 제안. 40년간의 신탁통치 구상.
- 소련은 조선의 임시政府(정부) 수립 주장. 신탁통치 기간도 협력과 원조의 형태로 5년 이내로 주장.
- 삼상회의 결정안 : 미·영·중·소 4개국이 5년 이내의 기한으로 신탁통치 실시. 조선 독립을 위해 임시政府(정부) 수립. 이를 위해 미소공동위원회 설치, 운영키로 함.
- 신탁통치 문제는 한반도 독립의 수단이자 과정. 그 자체가 목적이 아니었으나 국내에 전해지면서 ‘소련이 신탁통치를, 미국이 즉시 독립’을 주장했다는 왜곡보도. 임시政府(정부) 수립보다 신탁통치 문제가 전면에 부각되면서 좌우대립과 혼란 초래.
▶ 반탁국민총동원위원회 : 김구 임정계열, + 한민당, 이승만.
--> 1946년 2월 반탁운동의 총결집체로 비상국민회의 결성. 독립촉성국민회 결성.
▶ 남조선대표민주의원 : 이승만과 미군정. 2월 14일 비상국민회의 최고정무위원회를 개편.
미군정 자문기관으로 삼아 미소공위 대비.
▶ 좌익세력 : 삼상회의 결정안의 총체적 지지 표명.
--> 1946년 2월 우익의 비상국민회의에 맞서 민전(민주주의민족전선) 결성.
2. 미소공동위원회 개최
- 1946년 3월 20일 제1차 미소공위 개최
- 협의대상 문제 : 소련…(생략(省略))
다.강의안_해방과_분단국가의_수립97 , 해방과 분단국가의 수립법학행정레포트 ,
강의안_해방과_분단국가의_수립97
,법학행정,레포트
해방과 분단국가의 수립
레포트/법학행정
해방과 분단국가의 수립과정을 연도별로 쓴 글입니다.순서
설명




해방과 분단국가의 수립과정을 연도별로 쓴 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