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thode.co.kr [향찰 표기] 차자 표기 > methode8 | methode.co.kr report

[향찰 표기] 차자 표기 > methode8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methode8

[향찰 표기] 차자 표기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0 03:32

본문




Download : 관련자료1-2.hwp




여기서 문장이 우리말어순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ꡐ節, 以, 敎, 令, 爲ꡑ 등의 용례가 후기 이두의 용례와도 일치함을 볼 수 있다아 이두는 점차 발전하여 심지어는 고려, 조선을 통하여 19세기 말까지 계속 사용되었다. 吏讀는 그 명칭이 吏吐, 吏道, 吏書 등으로 나타난다. 이두는 한문이 극도로 우리 나라 말 식으로 고쳐진 것으로 단어의 배열이 국어의 문장 구조를 따르고 조사와 어미까지 표기한 것이다.
[향찰 표기] 차자 표기

1. 이두(吏頭) 표기, 2. 향찰 표기, 3. 차자 표기 정리, , FileSize : 22K , [향찰 표기] 차자 표기인문사회레포트 , 향찰표기 향찰표기 향찰표기


설명

1. 이두(吏頭) 표기, 2. 향찰 표기, 3. 차자 표기 정리(arrangement), , filesize : 22K
레포트/인문사회
♠이두(吏頭) 해설1. 우리말을 표기하려는 노력이 고유명사 표기에 이어 문장을 표기하려는 노력으로 발전한 것이 吏讀이다. 경주 남산의 신성비(591)에서 ꡐ辛亥年二月二十日 南山新城作節 如法以作 後三年崩破者 罪敎事爲聞敎令誓事之ꡑ라는 구절을 볼 수 있는데 ꡐ신해년 3월 26일 남산 신성을 지을 제 법대로 지은 후 3년에 붕파 하면 죄 주실 일로 삼아 듣게 하시고 맹세하게 하다ꡑ와 같이 해석된다된다. 이것은 이두가 吏胥들 사이에 깊이 뿌리 박혀 있었다는 점, 우리 나라 문자생활의 상층부를 이루…(생략(省略))



향찰표기,향찰표기,향찰표기,인문사회,레포트




Download : 관련자료1-2.hwp( 89 )



관련자료1-2_hwp_01.gif 관련자료1-2_hwp_02.gif 관련자료1-2_hwp_03.gif
순서






다. 신라의 금석문 같은 곳에서 발견할 수 있으나 첫 싹은 고구려에서 튼 것으로 생각된다된다.
전체 6,717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methode.co.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